과꽃 Callistephus chinensis (L.) Nee
마. 관리
과꽃은 천근성으로 분지가 많고 꽃이 많이 달리기 때문에 상부가 무거워져 쓰러지기 쉽다. 일단 쓰러지고 나면 상품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초장이 30~40cm 정도 자랐을 때 절화망을 쳐주어야 한다. 중심부의 꽃과 곁가지에 달리는 꽃은 개화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처음 나오는 꽃은 따 주어야 한다. 과꽃은 빛에 민감하여 1lux에서도 감응하므로 광중단 기간에는 10㎡당 60W정도의 백열등을 심야에 3시간 정도 켜주된다.
그림 3. 로제트묘와 정상개화묘의 비교(좌) 및 과꽃의 개화모습(우)
Ⅲ. 병충해
Ⅲ-1. 병해
1. 위조병
위조병은 포기 전체에 발병한다. 피해를 받은 개체는 생기가 떨어지고 생육이 불량하며 줄기와 잎이 말라 결국 고사하게 된다. 이 병은 주로 토양에서 전염하기 때문에 연작하게 되면 발병이 많아진다. 발병하기 쉬운 지온은 10~38℃로 범위로 넓다. 5년 이상의 주기로 돌려짓기를 하되 토양소독을 잘 하고 토양산도를 교정하며 통기성이 좋도록 해 준다.
2. 입고병
입고병은 발아후 생육초기에 많이 발생한다. 발병하면 줄기가 마르고 뿌리가 썩게 된다. 부패는 처음에 수침상(水侵狀)으로 진전되면서 줄기가 가늘어져 쓰러지고 고사하게 된다. 입고병의 병원균은 온도가 높을수록 활동이 활발하며 품종에 따라 저항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품종선택에 유의한다. 예방이나 방제법은 위조병과 같다.
그림 4. 과꽃의 잎에 발생한 반점병 증상
3. 반점병
반점병은 토양에 의해 전염되며 줄기와 잎에 나타나는데 처음에 아랫잎에서부터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작은 부정형의 갈색반점이 형성되며 이것이 점차 커지게 된다. 병반위에 형성된 포자가 비바람에 날려 점차 다른 개체에 전파된다. 방제는 연작을 피하고 정기적으로 살균제를 살포하므로서 예방 중심으로 한다.
4. 녹병
녹병은 주로 잎에 발생한다. 처음에 잎 뒷면에 입상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반점이 점차 커지면서 등황색의 분상으로 변하고 황화되어 고사하게 된다. 발병은 아랫잎에서 먼저 생겨 점차 위로 올라간다. 공기에 의해 전염되며 통풍이 불량하거나 과습한 조건에서 발병이 용이하다. 반점병에 준하여 방제한다.
5. 잿빛곰팡이병
잎이나 줄기에 발생한다. 잎은 녹색의 수침상이 변색되면서 부패가 진행되면서 회색의 곰팡이가 밀생한다. 시설재배시에는 과습한 조건에서, 노지재배시에는 강우기나 여름에 많이 발생한다.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하며 방제는 미리 예방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림 5. 과꽃에 발생한 잿빛곰팡이병 증상
Ⅲ-2. 충해
1. 잎선충
피해부위는 주잎맥에서 시작하여 처음에 황갈색에서 나중에 농갈색으로 되고 심하면 전체 잎이 흑갈색으로 바뀌면서 건조 고사하여 떨어진다. 개체가 비를 맞으면 토양중에 있는 선충이 튀어올라 피해조직이 생기며 새로 나온 잎으로 옮겨진다. 비가 많이 올 때 피해가 많다. 연작지에서는 살선충제로 토양을 소독한다. 초기방제를 중심으로 한다.
2. 배추흰나비 유충(청벌레)
배추흰나비는 유충이 크기 때문에 약제 살포효과가 거의 없다. 따라서 유충이 발생하기 전에 살충제를 수시 살포하여 조기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Ⅳ. 수확 및 출하
채화는 고온기에는 꽃이 2~3개, 그 밖의 시기에는 4~5개정도 피었을 때 한다. 여름철에는 잎이 상하기 쉬으므로 장마철에 채화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채화 후에는 물올림을 하고 선별하여 출하한다.
출처 - 농촌진흥청
'화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farm(식물공장)의 국내 현황 (0) | 2020.08.29 |
---|---|
식물의 이용상 분류(Annual, etc,,) (0) | 2020.08.29 |
과꽃(Callistephus)의 특성 및 재배방법 (0) | 2020.08.29 |
금어초 (Antirrhinum majus) (0) | 2020.08.29 |
선큰가든(Sunken garden) (0) | 2020.08.29 |